경제공부 썸네일형 리스트형 OPEC 감산 합의했다. 3월 미국 트럼프 : 1500만 배럴 감산 예상이락 트윗 날림 근데 하루에인지 1년에인지 뭐,, 기간이 명시되지는 않았다. *1500만배럴 = 사우디아라비아+러시아 하루 생산량 전체의 50% 정도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기름 생산국가 : 우리 그런거 합의한적 없다. 사실상 감산이 불가능하다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미국 : 자유경제인데 OPEC과 같이 담합을 한다는건 불가능하지 않을까? OPEC : 반독점, 담합기구 *담합 : 같은 업체끼리 가격 미리 짜고 치는 것 바로 어제 나온 뉴스, 하루에 1000만배럴 원유 감산에 합의했다고 했다. 2020년 5~6월 : 하루 1000만배럴 감산 7월 이후 : 하루 800만배럴 감산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세계 경제활동이 거의 멈춰있어 원유수요가 하루 3000.. 더보기 양적완화, 돈을 푼다고 해서 다 같은게 아니다 (삼프로TV)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소비경색은 어느나라나 다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미국은 국민들에게 돈을 뿌리기로 결정했다. 이를 헬리콥터머니라고 한다.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사실상 조폐국이 돈을 찍고 중앙은행으로 보내는 것) 그 돈을 국민들 계좌로 바로 쏴주거나 수표로 발송하여 즉각적인 소비활성화를 유도함. 2008년 당시 버냉키 의장 역시 대규모 양적완화를 실시하였는데 이 때는 직접 현금 지급은 하지 않았다. 이는 밑에서 다시 정리하겠다.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시장에 돈을 푸는 정책. 한국을 예로 들어보자. 조폐국이 돈을 마구 찍어 중앙은행으로 보낸다. 중앙은행은 이 돈을 시중에 푼다. 1) 돈이 풀린다 -> 돈의 가치 하락 (원화 하락) 2) 원화가치 하락에 반해 외국돈(대표적으로 $) 가치 상승 -> 수출업체.. 더보기 제로금리시대 - 금리의 모든 것 (1) 정답 - 10만원도 기대하지 말자. 금리에 대해 정리하기 전 기준금리에 대한 뉴스기사 잠깐 보고 가자 (출처 ㅣ 아이뉴스24) 이러한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금리'에 대해 이해해야한다. 일단 우리가 공부하고 싶은 금융이란 "돈을 융통하는 것" 이다. 다시말해 돈을 굴려서 돈을 버는 것이다. 돈을 굴리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 1)이자 -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받는 돈. 우리가 예금을 하는 행위는 은행에 돈을 빌려주는 것이다. 그 대가로 예금이자를 받는 것이다. 2)배당 - 회사에 돈을 투자하고 그 회사가 이익을 봤을 때 그 대가로 받는 돈. 대표적으로 주식이 있다. 3)매매차익 - 주식이든 펀드든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아서 퍼는 이익. 그말 알지?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ㅋㅋㅋ) htt.. 더보기 수요와 공급의 법칙 수요 누가 - 능력을 갖춘 사람이 무엇 -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려는 욕구 연봉 3천만원의 유랑이가 1000억짜리 빌딩 구입하고 싶은 것은 수요일까? 답은 No, 왜? 능력이 안되잖아.. 수요는 구입욕구가 아니다. 구매능력을 갖춘 욕구다. 그렇다면 유랑이가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사고 싶은데 비싸서 포기했다가 파격세일 중이라서 사야지 마음 먹은 것은? 노이즈캔슬링페드폰의 수요다. 아.. 보스 노이즈캔슬링 헤드셋 사고싶다..;; 나에겐 이것도 수요가 아닌것인가? 백수니까 ㅋㅋㅋㅋㅋ 수요법칙 전제 -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재화의 가격이 상승 -> 수요 감소 재화의 가격이 하락 -> 수요 증가 수요는 가격 외에도 소비자의 기호, 소득, 대체재, 보완재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대체재 어떤 재화와 유용성이 비슷.. 더보기 소비가 중요한 이유 & 소비효과 경제는 결국 소비가 살아나야 원활하게 돌아간다. 국민들의 소비가 활봘해야 기업의 생산이 늘어나고, 매출이 높아진 기업은 분배가 활발하고, 그럼 소비가 더 늘어나고. 다시 말해 한나라의 경쟁력 =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 인구 가 얼마나 많은가! 핵심은 중산층이야! 너와나 말이지.. 월급 200만원 받았다가 한달에 10만원씩 더 받는다고 치자. 그 10만원으로 뭐라도 더 사거나 이용하겠지? 하지만 너와내가 아닌 금수저들은? 월 5억씩 벌다가 1억 더 벌었다 치자. 어차피 걔네들은 플렉스 할거 다 하고 있어. 1억으로 뭘 더 플렉스 하겠니. 그냥 은행에 저축하거나 투자하겠지. 소비와는 관련성이 떨어지지. 그런데 말이지... 분배(소득)가 불평등하여 대다수 가계 (즉, 너와 나)의 소득이 늘지 않고 덩달아 소비능.. 더보기 교과서에서 배운 경제 기초 상식 1. 경제학 : 선택의 기술을 가르치는 학문 즉,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생각의 틀을 키워주는 학문 희소성 우리가 선택을 할 때 고민하는 이유는 희소성의 원리때문. 욕망은 무한하나 돈과 시간은 무한하지 않다. 농담으로 그러지, 돈 있을 땐 시간이 없고 시간이 있을 땐 돈이 있다고. 어떤 상황이든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를 잃게 된다. 내가 인도에서 한국을 돌아오는 비행기를 선택할 때 선택권은 두가지였다. 직항(아시아나, 대한항공) 혹은 경유하는 비행기(에어아시아). 직항은 비싼 대신 시간을 아끼고 경유비행기는 돈을 아끼는 대신 시간이 든다. 이렇게 돈or시간 선택의 기로에서 나는 당연히 돈을 아끼고 시간을 소비했다 기회비용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가치 중 가장 큰 것 나는 2019년 2월부로 .. 더보기 코로나19, 경제공부 하기 딱 좋은 시기 지금만큼 경제공부하기 좋은 시기가 없다고 한다. 경제는 생물인만큼 경기상승/하락의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데 성인이 된 후 이런 사이클을 10번 이상 겪게 된다. 경제위기는 약 10년에 한번 찾아온다고 한다. 1997 - 외환위기 2008 -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2020 코로나19 그래서 나도 시작한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