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기록

소비가 중요한 이유 & 소비효과 경제는 결국 소비가 살아나야 원활하게 돌아간다. 국민들의 소비가 활봘해야 기업의 생산이 늘어나고, 매출이 높아진 기업은 분배가 활발하고, 그럼 소비가 더 늘어나고. 다시 말해 한나라의 경쟁력 =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 인구 가 얼마나 많은가! 핵심은 중산층이야! 너와나 말이지.. 월급 200만원 받았다가 한달에 10만원씩 더 받는다고 치자. 그 10만원으로 뭐라도 더 사거나 이용하겠지? 하지만 너와내가 아닌 금수저들은? 월 5억씩 벌다가 1억 더 벌었다 치자. 어차피 걔네들은 플렉스 할거 다 하고 있어. 1억으로 뭘 더 플렉스 하겠니. 그냥 은행에 저축하거나 투자하겠지. 소비와는 관련성이 떨어지지. 그런데 말이지... 분배(소득)가 불평등하여 대다수 가계 (즉, 너와 나)의 소득이 늘지 않고 덩달아 소비능.. 더보기
교과서에서 배운 경제 기초 상식 1. 경제학 : 선택의 기술을 가르치는 학문 즉,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생각의 틀을 키워주는 학문 희소성 우리가 선택을 할 때 고민하는 이유는 희소성의 원리때문. 욕망은 무한하나 돈과 시간은 무한하지 않다. 농담으로 그러지, 돈 있을 땐 시간이 없고 시간이 있을 땐 돈이 있다고. 어떤 상황이든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를 잃게 된다. 내가 인도에서 한국을 돌아오는 비행기를 선택할 때 선택권은 두가지였다. 직항(아시아나, 대한항공) 혹은 경유하는 비행기(에어아시아). 직항은 비싼 대신 시간을 아끼고 경유비행기는 돈을 아끼는 대신 시간이 든다. 이렇게 돈or시간 선택의 기로에서 나는 당연히 돈을 아끼고 시간을 소비했다 기회비용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가치 중 가장 큰 것 나는 2019년 2월부로 .. 더보기
코로나19, 경제공부 하기 딱 좋은 시기 지금만큼 경제공부하기 좋은 시기가 없다고 한다. 경제는 생물인만큼 경기상승/하락의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데 성인이 된 후 이런 사이클을 10번 이상 겪게 된다. 경제위기는 약 10년에 한번 찾아온다고 한다. 1997 - 외환위기 2008 -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2020 코로나19 그래서 나도 시작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