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2020.4.16 유튜버 신사임당 영상 + IMF보고서를 참고한 글입니다.
1. 세계전망 성장률 데이터
GDP Growth(%)
년도 | 대한민국 | 전세계 |
1997->1998 (외환위기) | -5.5 | |
2008->2009 (금융위기) | 0.8 | -1.75 |
올해 전망치 (코로나 바이러스) | -1.2 | -3 |
*올해 성장률의 근거 : 코로나바이러스는 2020년 하반기에는 주춤해진다.
만약 코로나바이러스가 하반기까지 이런식으로 진전이 된다면 전망치는 더욱 최악으로 갈 것이다.
대한민국은 올해 -1.2% 역성장을 전망했다 (참고 4).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충격의 숫자이다.
-1.2%는 그나마 OECD국가 중 가장 좋은 숫자이다..
지난 1월 전망치는 2.2%였는데 4월 보고서는-1.2%로 3% 하향조정된 숫자이다.
이 하향 조정의 폭도 대한민국이 가장 작다.
2021년에는 반등을 할까?
세계경제는 5.8% 반등할 예정이다 (참고 5)
경제가 회복된다는 말이 아니라 워낙 올해가 안좋기 때문에 성장률이 올라가는 것 뿐이다.
참고 1. 대한민국 GDP 성장률
참고 2. 전세계 GDP 성장률
참고 3. 전세계 GDP성장률 그래프
참고 4. IMF가 전망한 대한민국 GDP 성장률
참고 5. IMF가 전망한 전세계 GDP 성장률
2. V자반등 가능한가?
파란색은 선진국, 빨간색은 신흥국들.
신흥국들은 20년도 1분기가 최저점, 선진국은 2분기가 최저점이다.
신흥국의 대표나라는 중국.
코로나가 집중되는 시점을 20년도 2분기라고 본다. (4,5,6월)
1998년 IMF | 외환시스템의 붕괴 |
2008년 금융위기 | 금융시스템의 붕괴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 실물경제의 붕괴 |
현재 주식이 하락하고 있는 것은 심리지표이다.
실제 실물경제의 충격을 나타내는 지표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
지금 주식만으로도 하락하고 있는데 실물지표가 나오면 한번 더 하락할 예정이다 - 더블딥
V자반등은 커녕 더블딥 가능성있다.
3. 디플레이션 우려
밀, 우라늄, 커피 제외하고 소비자물가가 하락.
(커피는 왜 오르는거죠?)
수요 위축, 공장가동 감소, 운송기기 운영 감소
공장, 운송기기 운영이 안되니까 오일비축량 증가한다 -> 오일가격 하락
원자재 가격 하락 -> 완제품 생산가격 하락 -> 물가하락 -> 디플레이션 우려
대한민국 2019년 소비자물가상승률 0.4%
가장 안정적인 목표안정물가 (현재 우리나라 경제시스템 안에서) 2.0%
근데 현재 이 숫자를 훨씬 밑돌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거의 0이나 마찬가지. 이는 반은 플러스 반은 마이너스라는 이야기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 저성장 & 저물가
디플레이션에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가 힘들다. 일본처럼.
물건이 하락할거 같다는 조짐 -> 구매 시점을 늦춘다.
자꾸 늦추며 소비와 투자가 줄어드니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
4. 양적완화(돈 뿌려댐) 중 웬 디플레이션?
보통은..
돈풀고 금리 떨어뜨림 -> 돈 가치 떨어짐 -> 자산가치 상승, 물가상승
근데 현재는?
물가 하락해도 안산다. 수요심리 자체가 위축되었다.
이미 가지고 있는 총알은 다 썼다.
저금리, 무제한 양적완화
현재 우리나라 금리는 역사상 가장 낮은 수준이다 (0.75%)
5. 어떻게 할까
일단 투자를 미루고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를 하자.
코로나 사태가 끝나면 부동산의 급반등이 있을 것이다.
6. 초저금리 시대의 안전자산이란
1)달라
2)달라채권 (우량회사)
3)미국채권
달라 예금 VS 달라로 미국채권
어떤식의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투자가 낫다 => 미국채권
미국 국채가 안전자산이다. 미국이 망하진 않는 한 손해는 나지 않는다.
미국채 직접 사는건 억단위이니 재간접투자형식의 단기채권형펀드를 사자.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경제 초보들을 위한 재무제표 읽기 #1 (0) | 2020.04.24 |
---|---|
미 연준 Fed $2.3조 대출, 이거 $4540억으로 뻥튀기 한 돈 (0) | 2020.04.16 |
금리의 모든것(2)-기준금리, 단기금리, 장기금리 정리 (2) | 2020.04.16 |
4월 12일 ; OPEC+ 감산 합의 완료! "멕시코, 트럼프 한마디에 감산 결정" (2) | 2020.04.14 |
한미 통화 스와프 계약600억달라 이 중 17일 40억달라 푼다 (0) | 2020.04.14 |